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제품/IT

eSIM 이심전심

by 신상이좋아 2022. 9. 19.
반응형

SIM이란?

휴대폰을 사용하려면 이동통신사에 가입자인증을 해야합니다. 가입자의 정보가 입력된칩으로 인증을 하는데 이걸 가입자 식별 모듈이라 부르고 그 영어단어인 Subscriber Identity Module의 약자를 따 SIM이라고 부르는 것이죠. 국내에서는 범용의 용도로 사용하여 앞에 Universal의 약자가 추가되어 USIM 이라고 부르는 겁니다. 그런데 이게 카드칩의 형태를 띄다보니 통신사를 바꿀때 마다 새로운 유심을 사야 하는 문제가 생긴것입니다.

eSIM이란?

eSIM은 embedded가 앞에 붙은 심이라서 eSIM이라고 부릅니다. 그동안 국내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하려면 물리적 유심카드를 스마트폰에 삽입하여야 했습니다. 그런데 이제부터는 이런 물리적 카드없이 식별 및 통신을 허가하는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받아 사용하면 되는데 이 소프트웨어가 기존 심카드의 역할을 대신하는 것입니다. 즉 아래 이미지같은 카드를 더 이상 사지않아도 된다는 말이지요.

eSIM을 사용하면 물건을 만드는데 드는 플라스틱과 칩을 절약할 수 있어 환경보호에 좋구요. 기존 USIM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 하나의 스마트폰에서 두개의 번호 또는 두개의 통신사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생깁니다. 기존엔 듀얼유심슬롯을 지원하는 기기, 예를 들어 샤오미 홍미노트10 또는 11같은 하드웨어를 써야만 두개의 번호 또는 두개의 통신사를 쓸 수 있었는데 말이죠. 스펙에 아래와 같은게 있어야만 하는 거죠.

이제 eSIM의 사용으로 모든 문제가 클리어된 걸까요? 아닙니다. 우선 기기 자체가 eSIM을 지원해야만 합니다. 모든기기에서 eSIM을 쓸수 있는게 아니라는거죠.아이폰은 11 이후 모델에서 사용가능하고 갤럭시는 Z플립4, Z폴드4부터 사용가능합니다. 지금은 신제품위주로 지원하고 점차 늘어나긴 하겠죠. 2022년부터는 eSIM이 본격적으로 도입되니까 많은 기기에서 사용할수 있을겁니다.

설정하기

eSIM서비스는 9월1일부터 통신사들이 지원하기 시작했고 통신사별 온라인 다이렉트몰에서는 셀프개통메뉴도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설명을 따라하면 어렵지 않게 설치, 개통이 가능합니다. 설치가 되면 이렇게 보이네요.

기기마다 약간씩 다르긴 해도 일단 설치만 되면 기본회선은 어느것이고 보조회선은 어떤것인지 선택할수있고 어떤것은 꺼놓는 설정도 가능합니다. 통화시 잔량이 많은걸 선택할수 있고 번호마다 어떤 회선을 쓸지 각각 선택할수도 있습니다.

이런 설정을 통하여 비즈니스용도와 개인용도의 통화를 분리하는 등(고객전화에 어떤 회선을 이용할지 설정) 기존에 두대의 스마트폰으로 하던일이 한대로 가능하게 된것입니다. 혼동하면 곤란이 일이 생길때도 있을테니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결론

간편한 설치와 평리한 설정 그리고 2개의 번호를 한대의 기기에서 편리하게 사용하게 해주는 eSIM. 기존의 듀얼유심사용자들은 이전에 비하여 더 간편하게 개통과 설치가 가능하니 사용해볼만 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